강원도 지역 산/오대산,계방산, 가리왕산,함백산

눈 내리는 날 칼바람 부는 선자령

불~나비 2020. 2. 17. 13:31

오늘(2020년 2월 16일-일)은 아침 일찍 태릉입구역에서 6명이 모여 선자령에 가기 위해 곰님 차로 이동한다. 목적지에 도착한 시간은 10시 5분이다. 우리가 태릉입구역에서 7시 35분에 출발했으니, 정확히 2시간 30분 만에 도착했다. 대관령 주차장에는 먼저 온 산우님들 차량으로 붐비었다. 간신히 주차공간을 확보하여 주차를 하고 곧바로 산행을 시작한다. 오늘 산행지는 강원도를 영동과 영서로 가로지르는 구름도 쉬어 간다는 대관령. 고개 너머 동쪽이 강릉, 서쪽이 평창이다. 대관령은 겨울철에 영서지방의 대륙 편서풍과 영동지방의 습기 많은 바닷바람이 부딪쳐서 우리나라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 3월 초까지도 적설량이 1m가 넘는다. 대관령의 강릉과 평창의 경계에 있는 선자령은 눈과 바람, 그리고 탁 트인 조망이라는 겨울 산행 요소를 고루 갖추고 있다. 선자령은 해발 1,157m로 높지만 대관령휴게소가 840m로 정상과의 표고차 317m를 긴 능선을 통해 산행하게 되므로 일반인들도 쉽게 오를 수 있다. 등산로는 동네 뒷산 가는 길만큼이나 평탄하고 밋밋하여 가족단위 산행으로 알맞다. 선자령 산행의 백미는 정상에 서서 바라보는 산들의 파노라마. 정상에 올라서면 눈을 덮어쓰고 있는 남쪽으로는 발왕산, 서쪽으로 계방산, 서북쪽으로 오대산, 북쪽으로 황병산이 바라다 보이고, 맑은 날에는 강릉시내와 동해가 한눈에 들어오는 등 전망이 일품이다. 주능선 서편 일대는 짧게 자란 억새풀이 초원 지대를 이루고 있는 반면 동쪽 지능선 주변은 수목이 울창하다. 대관령은 겨울철에 영서 지방의 대륙 편서풍과 영동지방의 습기 많은 바닷바람이 부딪쳐서 우리나라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고 내린 눈이 세찬 바람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태백산, 계방산, 백덕산과 함께 강원지역의 대표적인 겨울 눈 산행의 명소이다.

눈 내리는 날 칼바람 부는 선자령 동영상

 

 

출발에 앞서 대관령 국사 성황사 안내 표지석 앞에서 단체사진 한 장 찍는다.

 

등산로입구 안내 표지이다. 주차장 쪽에서 바로 올라가면 양 떼 목장을 거쳐서 올라갈 수 있는데, 우리는 등산로 입구에서 재궁골 삼거리를 거쳐 샘터를 지난 후 선자령(정상석)으로 올랐다. 그리고 하산은 KT 송신소를 거쳐 원점회귀 산행을 했다.

 

대관령옛길 등산로 안내표지가 보인다.

 

대관령 탄생 숲 구간을 조성해 놓았다. 이 나무와 같이 우리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서 대한민국의 큰 일꾼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기록되어 있었다.

 

이 곳은 샘터이다. 앞으로 선자령은 3.2km 더 가야 한다.

 

우리는 이 곳에서 개인장비를 착용한다. 앞으로의 구간은 계곡길로 미끄러운 길이다.

 

계곡사이로 약간의 오르막길이 나타난다. 우리는 잠시 쉬어 가기로 한다. 쉬는 시간에 간식거리로 요기도 한다.

 

옆 계곡에는 시원스럽게 흘러내리는 물소리가 정겹기만 하다.

 

이제 선자령 가는 길도 1.7km 남았다.

 

선자령 가는 길에 눈발이 날리기 시작한다.

 

하늘목장을 알리는 널찍한 곳에 도착했다.

 

하늘목장 안내표지 앞에도 눈이 소복이 쌓였다.

 

많은 산우님들이 이 곳에서 식사를 하고 쉬고 있었다.

 

강하게 불어오는 바람을 피할 곳은 오직 이 곳 밖에 없었다.

 

우리도 이 곳에서 점심을 먹고 가기로 한다.

 

곰님이 가져 온 텐트를 치기 시작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 곳에서 거의 2시간 동안 식사를 하였다.

 

식사를 마치고 정상을 향하여 올라간다.

 

이 곳에서 정상으로 가기 위해 우측으로 올라가야 한다.

 

정상으로 가는 길에 불어대는 칼바람은 곧바로 걸어가기도 힘들었다.

 

칼바람을 이겨내고 정상에 도착했다. 정상에서 6명이 인증숏을 해야 하는데, 수연님은 칼바람에 버티기도 힘들다고, 그냥 우리끼리 찍으라고 한다. 우리는 개인 사진은 포기하고 단체사진 한 장만 찍고서 곧바로 하산한다.

 

하산길은 눈이 더욱더 솥아졌다.

 

폭설에 나뭇가지 사이로 소복이 쌓인 눈이 멋스럽다.

 

우리는 하산길에 눈 속에 파묻혀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나뭇가지 사이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이 귓전을 때린다.

 

우리 모두는 하산길 포근한 눈 속을 걸으며 마냥 즐거워한다.

 

전망대 가는 길과 KT 송신소 가는 갈림길에서 우리는 KT 송신소 길로 접어들었다.

 

이제 거의 하산길이 끝나간다.

 

포장된 아스팔트 길에서 우리는 마지막으로 기념사진을 찍고서 하산을 서두른다.

 

이 곳이 우리가 산행을 시작한 마지막 지점이다. 오늘 산행은 우리 모두 안산 즐산 했다. 차를 타고 곧바로 서울로 출발한다. 

 

서울에 도착하여 간단하게 뒤풀이를 한다. 다음 주에 또 소요산에서 만날 것을 약속하면서, 이것으로 오늘 산행은 마무리한다.